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FC/2011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 FC

파일:대구 FC 엠블럼 (2011).svg
대구 FC 역대 시즌
2010년2011년2012년

샤우팅 대구! 서포팅 대구 FC!
파일:nold_player_2011.jpg
파일:대구 FC 엠블럼 (2011).svg
대구 FC 2011시즌
대표이사김재하
단장
감독이영진
수석코치김귀화
주장백민철
결과
파일:k-league_logo(2011~2012).png12위
(30전 8승 9무 13패 35득점 46실점)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32강
(1전 1패 2득점 3실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h_%26_Cash_Cup_2011.pngA조 5위
(5전 1승 2무 2패 2득점 5실점)
합산 성적[1]36전 9승 11무 16패 39득점 54실점
최다 득점[2]송제헌, 김현성 (8골)
최다 도움[3]주닝요, 황일수, 윤시호 (3도움)
1. 코칭 스태프 및 선수 명단
1.1. 코칭 스태프 명단
1.2. 선수명단
2. 이적시장
2.1. 겨울 이적 시장
2.1.1. 영입
2.1.2. 방출
2.2. 여름 이적 시장
2.2.1. 영입
2.2.2. 방출
3. 시즌



1. 코칭 스태프 및 선수 명단[편집]



1.1.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대구 FC 2011 시즌 코칭스태프 명단
직책이름영문 이름국적생년월일
감독이영진Lee Young-J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1년 4월 26일
수석코치김귀화Kim Gwi-Hwa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3월 15일
코치손현준Son Hyun-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3월 20일
코치당성증Dang Sung-Je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6년 1월 4일
골키퍼 코치조준호Jo Jun-H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4월 28일
트레이너 겸 전술코치둘리오파일:브라질 국기.svg1970년 3월 13일
트레이너노현욱No, Hyun-Wo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3월 13일
트레이너김기현Kim, Gi-Hy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0월 17일


1.2. 선수명단[편집]


대구 FC 2011 시즌 선수 명단
번호이름영문 이름포지션국적생년월일
1백민철Back Min-Chul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7월 28일
3강용Kang, Yong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1월 14일
4김기희Kim, Kee-Hee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7월 13일
5유경렬Yoo, Kyung yeol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8월 15일
6송한복Song, Han Bok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4월 12일
8안성민Ahn, Sung-Mi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11월 3일
9마테우스Matheus Humberto MaximianoFW파일:브라질 국기.svg1989년 5월 31일
10주닝요Junio César ArcanjoMF파일:브라질 국기.svg1983년 1월 11일
11황일수Hwang Il-Su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8월 8일
12임성택Lim Seong-Taek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7월 19일
14한동원Han Dong-Wo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4월 6일
15최호정Choi Hoju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12월 8일
16송창호Song Chang-ho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2월 2일
17이지남Lee Ji-Nam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11월 21일
18김현성Kim Hyunsung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9월 27일
19끼리노Thiago Quirino da silvaFW파일:브라질 국기.svg1985년 1월 4일
22김대열Kim Daeyeol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4월 12일
23윤시호Yun, Si-Ho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05월 12일
24박종진Park, Jung Sik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3월 7일
25이형상Lee, Hyung Sa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5월 5일
27김민구Kim, Min-Goo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5월 7일
28최유상Choi, You-Sa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8월 25일
29김유성Kim You-Sung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12월 4일
30이준희Lee Jun Hee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6월 1일
31이양종Lee Yang-jong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7월 17일
32김종백Kim, Jong-Back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4월 15일
33송제헌Song Je-Heon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7월 17일
34김대훈Kim, Dae-Hoon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4월 26일
35김병규Kim, Byung-Kyu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3월 22일
36변윤철Byun, Yoon-Chul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10월 7일
37민기Min, Gi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7월 27일
38김혁Kim, Hyuk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10월 1일
39전호연Jeon, Ho-Yeo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5월 6일
40안석호Ahn, Seok-Ho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1월 5일
41박준혁Park, Jun Hyuk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4월 11일
44안상현Ahn Sang-Hyu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3월 5일
45경재윤Kyung, Jae-Yoo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4월 6일
46이광진Lee Kwang-Jin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7월 23일
55안재훈Ahn Jae-Hoon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2월 1일

아마 대구 FC 역대 시즌 중 선수 구성에 가장 큰 변화가 있던 시즌일 것이다. 두 명의 용병 레오와 안델손은 같은 브라질 출신의 끼리노와 주닝요로 물갈이되었다. 대구의 중원 한 자리를 담당하던 이슬기는 송창호와 트레이드되어 포항으로 이적하였고, 센터백 듀오 방대종황선필이 김승현, 송한복과의 2:2 트레이드에 끼워져 전남으로 이적하였다. 이외에 장남석이 상무에 입단하였고 김민균을 비롯하여 여러명의 1,2 년차 선수들이 칼바람을 맞았다. 12~15명을 남짓한 선수들을 제외한 스쿼드 전체가 칼바람을 맞았고 그 자리는 안재훈, 김기희, 김민구 등 드래프트를 통해 뽑은 선수들과 박준혁, 윤시호, 안상현, 이지남 등 새롭게 영입한 선수들로 채워졌다. 경남에서 수석코치에 이어 조광래 감독의 공백으로 감독대행을 역임했던 김귀화 코치가 대구 수석코치로 부임했다. 그리고 이적시장 막바지 유경렬한동원을 영입하는데 성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깜짝 서프라이즈를 안겼다. 그러나 6월 현재 유경렬은 센터백 3옵션이며 한동원은 주전에서 완전히 배제된 상태.였으나 몇몇선수들이 승부조작으로 방출된 이후 유경렬은 다시 주전으로 뛰고 있으며 한동원도 간간히 교체 멤버로 나온다.


2. 이적시장[편집]



2.1. 겨울 이적 시장[편집]



2.1.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안재훈DF건국대학교드래프트(1순위)
김기희MF고려대학교드래프트(2순위)
최유상MF관동대학교드래프트(4순위)
임성택FW아주대학교드래프트(5순위)
이준희DF경희대학교드래프트(6순위)
김대훈DF고려대학교드래프트(번외)
이양종GK관동대학교드래프트(번외)
김민구FW강릉시청 축구단드래프트(번외)
김종백MF대구대학교드래프트(번외)
김병규MF대경대학교드래프트(번외)
민기MF용인대학교드래프트(번외)
유경렬DF울산 현대자유계약[4]
황선필DF상주 상무군전역
김승현FW전남 드래곤즈트레이드[A]
송한복DF
송창호MF포항 스틸러스트레이드[B]
안상현MFFC 서울이적
이지남DF경남 FC이적
주닝요FWCD 나시오날임대
한동원FW성남 일화 천마임대
끼리노FW콘사도레 삿포로임대
주재덕GK전북 현대 모터스자유계약
윤시호DFFC 서울자유계약
이형상MFHNK 시베니크자유계약
이성민DF강릉시청 축구단자유계약
변윤철FW인천 유나이티드자유계약
김혁DF천안 FC자유계약
전호연MFFC 서울자유계약
안석호DF수원 삼성 블루윙즈자유계약
박준혁GK경남 FC자유계약



2.1.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방대종DF전남 드래곤즈트레이드[A]
황선필DF
이슬기MF포항 스틸러스트레이드[B]
김동석MF울산 현대 호랑이임대복귀
장남석FW상주 상무군복무[5]
김오성MF경찰청 축구단군복무
조준호GK은퇴[6]
백영철MF은퇴
김해원DF부산교통공사방출
김효선MF방출
김민균MF방출
레오FW보우타 헤돈다 FC방출
이현창MF강릉시청 축구단방출
김창희MF대전 한수원방출
정형준MF방출
정우성DF창원시청 축구단방출
최득하DF용인시청 축구단방출
이기은MF방출
김동명MF목포시청 축구단방출
유병욱MF고양 KB국민은행방출
이삭FW방출
조영준GK천안시청 축구단방출
정형호MF방출
송순보MF방출
김민호FW방출
박준오GK방출
남현성MF경주시민축구단방출


2.2. 여름 이적 시장[편집]



2.2.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강용DF강원 FC자유계약
마테우스FW아바이 FC이적
김유성FW경남 FC트레이드[D]
이광진MFFC 서울임대
경재윤MFFC 서울임대
김주환MF상주 상무군전역


2.2.2. 방출[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김승현FW임의탈퇴(무죄) [C]
온병훈MF임의탈퇴(무죄) [C][7]
-이상덕-DF임의탈퇴 [C]
-안성민-MF임의탈퇴 [C]
-조형익-FW임의탈퇴 [C]
-오주현-DF임의탈퇴 [C]
-양승원-DF임의탈퇴 [8]
주재덕GK방출
이성민FW강릉시청 축구단방출
전원근DF경남 FC트레이드[D]



3. 시즌[편집]


이전부터 박종선 단장과 대구 서포터즈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 변병주 감독 구속건, 단장 연임건도 있고 무기력한 구단운영에 책임회피하기 급급한 모습. 거기다 팬들과의 대담에서 책임회피하기 바쁜 대답으로 일관, 서포터즈들이 폭발하면서 단장과의 관계는 극으로 치달았다. 서포터즈는 현재 단장 퇴진을 위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무기한 투쟁을 선언했다.

그렇게 단장이 바뀌고 전 삼성 라이온즈 단장이였던 김재하 前 삼성 라이온즈 부사장이 단장 겸 대표로 부임하였다. 관련 기사 김재하 단장은 부임 이후 착실한 행보를 보여주면서 (리그 개막전 광주와의 경기에서 원정을 뛰기도 했다!) 서포터들로부터 꽤 지지를 얻고 있다.


3.1.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편집]


파일:/image/022/2011/02/22/20110222001914_0.jpg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
정규리그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12011-03-05원정광주 FC2 - 3황일수(52'), 조형익(61')
22011-03-13강원 FC1 - 0송제헌(18')
32011-03-20원정인천 유나이티드1 - 1이지남(29')
42011-04-02전남 드래곤즈1 - 0이지남(89')
52011-04-09경남 FC2 - 1김현성(29'), 송창호(90+2'(PK))
62011-04-16원정부산 아이파크2 - 2송제헌(22'), 송창호(75')
72011-04-24전북 현대 모터스1 - 2끼리노(67')
82011-04-30원정울산 현대1 - 2주닝요(17'(PK))
92011-05-08원정제주 유나이티드0 - 3
102011-05-21원정FC 서울2 - 0이상덕(44'), 안성민(67')
112011-05-28원정포항 스틸러스2 - 2안성민(37'), 끼리노(44')
122011-06-05상주 상무0 - 0
132011-06-11대전 시티즌1 - 1안성민(51')
142011-06-18원정수원 삼성 블루윙즈1 - 4김현성(11')
152011-06-25성남 일화 천마2 - 1주닝요(21'), 끼리노(90+2')
162011-07-02원정상주 상무2 - 1김민구(29'), 김현성(32')
172011-07-09부산 아이파크2 - 3유경렬(34'), 황일수(68')
182011-07-17원정전남 드래곤즈1 - 3송제헌(36')
192011-07-23포항 스틸러스1 - 1김현성(90+1')
202011-08-06제주 유나이티드0 - 2
212011-08-13원정전북 현대 모터스2 - 2김현성(58'), 마테우스(78')
222011-08-27원정성남 일화 천마0 - 1
232011-09-09FC 서울2 - 1김현성(31', 34')
242011-09-17원정대전 시티즌2 - 2송제헌(1', 24')
252011-09-24수원 삼성 블루윙즈1 - 2송제헌(90+1')
262011-10-02인천 유나이티드2 - 0송제헌(46', 60')
272011-10-09광주 FC1 - 2유경렬(63')
282011-10-16원정경남 FC0 - 3
292011-10-23원정강원 FC0 - 1
302011-10-30울산 현대0 - 0

전반기를 마친 현재 대구 FC는 전반기 리그 5승 5무 5패를 기록했다. 지난 두 시즌이랑 비교하자면 엄청난 일취월장이다. 2009, 2010 시즌 모두 대구FC는 시즌 내내 각각 5승씩을 따내는 데에 그쳤다. 순위는 10위로 조금 처진 상태이긴 하나 3위까지의 승점차가 5점차에 불과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4월 한때 홈에서 리그 3연승을 달리는 등 분위기를 탔으나 원정에서의 부족한 경기력과 아쉬운 심판 판정으로 5월 이후에는 순위가 많이 내려왔다. 5월 21일 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역사적인 2-0 승리를 거두며 분위기를 반전시켰으나 이후 리그에서 연속으로 아쉬운 3연속 무승부를 거두었고 수원에게 원정에서 4-1로 패배하면서 지난 시즌들에 비해서는 낫지만 조금은 아쉬운 성적. 그래도 성남에겐 홈에서 2-1로 이기면서 전반기를 기분좋게 마쳤다.

그러나 백민철의 컨디션 난조를 틈타 혜성처럼 등장한 박준혁이 출장하는 경기마다 준수한 경기력을 선보이고 있으며 윤시호, 끼리노 등 영입 선수들이 차츰 경기력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것은 향후 대구의 행보를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이다. 시즌 초반 중구난방이던 대구의 베스트 일레븐은 서울전 승리 이후 대강 이렇게 윤곽이 잡혔다.

GK: 박준혁 (백민철)
DF: 윤시호, 이상덕, 안재훈, 박종진(이지남)
MF: 온병훈(주닝요), 안성민, 송한복(송창호), 조형익(황일수)
: 미드필드 라인은 선발 명단의 변동이 심하다. 수비진과 공격진은 대강 틀이 잡혔으나 중원만큼은 아직까지 그렇지 못한 실정. 그나마 안성민과 조형익이 점차 확고하게 주전 자리를 굳혀가는 듯 하고 송한복도 거의 주전에 가까우며 주닝요가 잠깐 폼이 떨어진 사이 온병훈이 남은 측면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FW: 김현성, 끼리노
였으나... 승부조작으로 몇몇선수들이 방출된 이후 윤곽을 대강 이렇게 다시 잡아야 했다.

GK: 박준혁 (백민철)
DF: 윤시호, 유경렬(강용), 안재훈, 박종진(이지남)
MF: 송창호(송한복), 황일수(김기희), 김유성(안상현), 주닝요(한동원)
FW: 김현성(김민구), 끼리노(마테우스), 송제헌

대구의 가장 큰 목표는, 승강제가 시행될 경우 1부리그에서의 자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 대구의 조악한 성적을 고려할때 2011년과 2012년 두 시즌동안 최소 한자리수의 성적을 거두어 줘야 1부리그 잔류를 기대할 수 있다. 대구의 시즌 청사진은 이러한 목표에 맞추어져 있으며, 2011 시즌 대구의 전반기 목표는 승점 20점이었고 15라운드 성남과의 홈경기에서 승리한다면 20점을 겨우 맞출 수 있었는데 성남과의 홈경기에서 2대1로 이기면서 목표달성에 성공했다. 시즌동안의 목표는 최소 10승, 승점 40점을 기록하여 한자리수 순위를 지키는 것이었다. 어느 정도는 목표에 근접해가고 있지만, 목표치에 순조롭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름에 걸출한 미드필더 한 명의 영입은 필요할 지도 모른다. 비바K리그에서도 이영진 감독은 팀에 가장 필요한 유형의 선수로 윤빛가람을 거론하면서, 중원에서 창의적으로 경기를 필요할 수 있는 선수가 없다는 것을 무척 안타까워했다.

그리고 지금 성적은 6승 5무 6패로 9위를 기록 하고 있는데 저번 2시즌 때보다 훨씬 잘하고 있다. 그리고 팀 역사상 2번째로 브라질 1부 리그의 아바이순대서 뛰고있는 마테우스라는 선수를 임대 영입, 그 선수를 적응시키기위해 프런트가 열심히 뛰고 있다. 그리고 전남 드래곤즈, 포항 스틸러스, 강원 FC 등에서 뛰었던 수비수 강용도 영입했다. 그리고 경남 FC에는 전원근을 주고 김유성을 얻어오는 트레이드도 이뤄냈다. 포항과의 경기에서는 1:1로 무승부, 대구에게는 강팀과 비기고 약채에게 승점을 뜯어올수 있으니 대구에게 이익이다. 그리고 전북에게 2:2로 비겼다. 그 이후로 또 연패중이다가 상승세인 서울에 2:1로 승리, 서울에게 이번 시즌 대구전 2패를 선물하고 자기들은 11위로 상승. 그리고 대전 시티즌과는 2:2로 비겼으나 수원에게 아쉽게 1:2로 져서 사실상 6강은 멀어졌고, 한자리수 순위 진입이라도 노려야 할 판이다. 그리고 10승 목표달성에도 실패하고 말았다. 인천 유나이티드을 상대론 이겼지만... 광주 FC, 경남 FC, 강원 FC을 상대로 모두 져버렸다. 게다가 광주전은 대구스타디움 복귀전이었는데... 이제 남은 상대는 울산 현대 호랑이뿐. 그리고 마지막 울산전과 0:0으로 비기면서 8승 9무 13패로 리그 12위로 2011시즌을 마감.

애초에 6강 전력도 아니었고, 시즌 도중 승부조작으로 선수들이 털리는 고난 속에서도 이 정도 성적이라도 낸 게 어딘가 싶지만...구단은 최종전 이후 그나마 고춧가루 부대 역할이라도 할 수 있게 만든 이영진 감독을 해고해 버렸다. 이영진 감독을 해임하고 대구 출신 감독을 선임하겠다며 H모 감독에게 접근했다는 등의 기사가 떠 많은 팬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하지만 브라질 올림픽 축구대표팀의 수석코치를 지낸 모아시르 페레이라를 새 감독으로 파격 선임하는 반전을 때렸다. 이영진 감독을 경질한지 하루만의 일이라 이미 예전부터 구단과 접촉해 온 듯하다.


3.2. 2011 하나은행 FA CUP[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2011 하나은행 FA CUP
||
라운드날짜경기장상대 팀점수득점자
32강2011-05-18울산 현대미포조선2 - 3조형익(53'), 김현성(55')


3.3. 러시앤캐시컵 2011[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h_%26_Cash_Cup_2011.png러시앤캐시컵 2011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A조 1라운드2011-03-16경남 FC0 - 2
A조 2라운드2011-04-06원정인천 유나이티드0 - 0
A조 3라운드2011-04-20원정포항 스틸러스1 - 0황일수(10')
A조 4라운드2011-05-05성남 일화0 - 2
A조 5라운드2011-05-11원정대전 시티즌1 - 1황일수(28')
대부업체 A&P 파이낸셜이 K리그 컵대회를 후원하기로 하면서, 러시앤캐시컵 2011 라는 이름으로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의 직접적인 무대가 된 대회임이 드러나 많은 비난을 받게 되었고, 2012년 K리그 개편에 의한 스플릿 시스템 도입 및 승강제 도입으로 리그 수와 경기 수를 늘리면서 리그컵은 자연스레 폐지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32:09에 나무위키 대구 FC/201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합산성적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2] 다만, 팀 내 최다 득점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3] 다만, 팀 내 최다 도움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4] 이근호 보상 선수[A] A B 김승현+송한복 ↔ 방대종+황선필[B] A B 이슬기 ↔ 송창호[5] 승부조작 가담자로 영구제명[6] 은퇴후 골키퍼 코치로 보직 변경[D] A B 전원근 ↔ 김유성[C] A B C D E F 승부조작혐의[7] 추후에 밝혀지기로 당시 같은 팀 소속 선배였던 장남석이 온병훈한테 승부조작 제의를 했으나 끝까지 거부한것에 대한 꽤심한 마음으로 거짓 증언을 하여 누명이 씌워진 것이였고 결국 항소심에서 밝혀져 무죄를 선고 받게 되었다.[8] 승부조작혐의

관련 문서